파이썬은 자료형없이 변수명 쓰고 ; 필요 없다

   -> myVar = '아아'

 

파이썬은 메모리가 허락하는한 정수는 무한대, 실수는 8바이트

 

파이썬 한줄주석 #

파이썬 여러줄 주석 ''' '''

파이썬 블린값은 첫글자가 대문자 False , True


파이썬은 문자와 문자열을 구분하지 않는다.

'와 " 둘다 사용 가능

 

파이썬에서 자료형 보는 내장함수 : type()

 

파이썬의 형변환하기 : int() , str()

 

12 34

 

print(myStr + str(myInt) ) -> 1234

print(int(myStr) + myInt ) -> 46


 파이썬의 컨테이너 자료형 1. 리스트 [] : 중복 허용

     기본구조 : 변수명 = [ 'ㄱ' , 'ㄴ' , 'ㄷ' ]

     인덱스는 0번지 부터 시작한다. 출력방법 : print(변수명[4]) print(변수명[0])

     파이썬 리스트의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함수, len(길이) ,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리스트명.append(요소 추가) 요소를 하나씩 붙임,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리스트명.insert(2, '삽입') 2번째에 ^삽입^ 이라는 요소 추가,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리스트명.extend( [ '연장' , '리스트를 갖다 붙일수있따'] ) ,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리스트명.pop(3) 3번째 요소 삭제, 적지 않을시 맨 뒤 요소를 삭제,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리스트명.remove('사악제') 특정데이터 ^사악제^ 를 삭제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리스트명.clear() 모든 요소 삭제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리스트명.sort() 데이터 형식을 맞춰줘야 에러안남 디폴트는 오름차순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리스트명.sort(reverse = True ) 내림차순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리스트명.reverse() ㄱㄴㄷ -> ㄷㄴㄱ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리스트명[1:3] , 리스트명[:2] ㄱㄴㄷㄹㅁ -> ㄴㄷ 자른부분의 앞까지 가져옴

 

파이썬의 컨테이너 자료형 2. 튜플 () , 데이터수정불가

 

     길이 : len() 튜플끼리 결합 : + ( 'a' ,'b' )

     데이터자르기 : 튜플명[1:3]

     인덱스검색 : 튜플명.index('b')

     튜플의 요소 개수 : count()

 

파이썬의 컨테이너 자료형 3. 딕셔너리 {} , 키와 밸류

    dic = { 10:'크크' , 20:'느느', 30: '뜨뜨' }

    print(dic(20)) --> 느느

    del dic[20]

    print(dic) --> { 10:'크크' , 30: '뜨뜨' }

+ Recent posts